사회초년생이다보니 '월급을 어떻게 해야하나?'라는 생각이 드는데요.
제1금융권(국민은행, 신한은행 등 가장 쉽게 접하는 은행들)의 경우 예, 적금 금리가
1%대이고 그것마저도 조건이 붙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그러다 우연히 '아빠의 첫 돈 공부'라는 책을 보게 되었는데,
거기서 재태크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다음에 책 리뷰도 할게요)
제2금융권(웰컴저축은행, 오케이저축은행 등)의 경우 금리가 평균적으로 3%이상은 되는 것 같습니다.
https://www.welcomebank.co.kr/ib20/mnu/IBNFPMDSP001
제2금융권에 대해 알고는 있었지만, 아무래도 제1금융권보다 위험성이 높다는 생각이 있어
아예 고려하고 있지 않았는데, 예금보호제도로 리스크관리가 가능하겠더라고요?
예금보호제도
은행 등의 금융기관이 파산 등으로 예금을 지급할 수 없을 때 국가기관인 예금보험공사가
정해진 금액(금융기관당 1인 5,000만원까지)을 대신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개별 금융기관 파산에 따른 전체 금융시스템의 불안정성을 예방하기 위해,
1997년부터 은행예금에 대한 보험제도가 실시되었습니다.
현재 가입한 금융기관은 은행, 보험회사, 상호저축은행 등입니다.
***참고해야할 사항은 농, 수협의 단위조합과 새마을금고는 가입되어 있지 않고,
자체적인 기금을 통해 대체하고 있습니다.
사실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일 수 있지만, 재태크 초보(저처럼...)라면
솔깃한 말한 내용일 수도 있을 것 같아 포스팅해보았습니다.
금리 1%가 소중한 시점에서 예금보호제도로 보호 받을 수 있는 선에서
제2금융권의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이용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물론 선택은 스스로가 해야겠죠? 누구도 책임져주지 않으니까요.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초년생 재테크 1탄 (0) | 2020.04.04 |
---|---|
한국판 무제한 양적완화의 시작 (0) | 2020.04.02 |
경제공부 하고 싶은데, 뭐부터?? (0) | 2020.03.28 |
대구시, 긴급생계지원비 지급! (0) | 2020.03.23 |
10여 년만에 '한미통화스와프' 체결! (0) | 2020.03.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