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경제가 어려워져서 그런지 옛날과 다르게 주변에서 쉽게 재테크에 관한 얘기를 접할 수 있는데요.
(원래 서점 베스트셀러에도 자기계발서가 많았는데, 요즘은 온통 경제서적이네요)
그 중에서도 적은 금액으로 쉽게 접할 수 있는 상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재테크 첫 단계는 지출흐름을 파악하고 지출을 통제 하는 것입니다.
첫 단계를 클리어했다면 그 다음 스테이지는 무엇일까요?
제가 생각하기에는 CMA를 시작하는 것인 것 같은데요.
재테크에 관심있으신 분이라면 다들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거예요.
CMA란?
CMA란 Cash Management Account의 약자입니다. 돈관리계좌쯤되네요.
뭔 소린가 싶으시죠?
CMA는 기존의 은행에 돈을 예치하고 이자를 받는 방식이 아닙니다.
주로 증권사에 돈을 맡기면 이를 특정상품에 투자합니다. 그리고 이를 통해 발생하는 수익에서 이자나 배당을 하는 방식입니다.
CMA의 종류?
CMA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요. 이 중에서 가장 대중적인 상품 2가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RP형 CMA
RP형 CMA는 국공채, 우량회사채 등에 투자하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수익으로 이자를 지급하는 형식
장점
- 확정금리형으로 이자지급(일단위 지급)
- 높은 안정성(투자대상이 국공채, 우량회사채 등)
- 이체, 결체 등의 뱅킹업무 가능
- 공모주 청약가능
- 자유로운 입출금
단점
- 예금자보호X
- 낮은 수익률(연간 0.8~1.0%)
2) MMF형 CMA
Money Market Fund의 약자
확정이자가 없어 상대적으로 인기 감소
상품 폐지하는 증권사도 있음
장점
- 높은 안정성(콜론, CD, CP 등에 투자)
단점
- 예금자보호x
- 정해진 이자x(일단위 지급)
CMA계좌 만들기
1) 금융기관 선택은?
사실상 지급이자 등에 있어 큰 차이가 없기에 수수료가 저렴한 곳으로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2) 준비물은?
CMA 계좌를 만드는 방법에는 2가지가 있습니다.
첫째는 증권사난 은행에 직접 방문하는 방법
둘쨰는 비대면 온라인으로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코로나19를 핑계삼아 온라인으로 만드는 게 더 편하겠죠?(직접 가려면 가는 시간, 대기시간 귀찮아...)
결론적으로 2방법 모두 신분증만 있으면 됩니다!
지금까지 CMA와 CMA계좌를 만드는 방법에 관해 알아보았는데요.
저금리 시대라 CMA 역시 금리가 턱없이 낮지만 그래도 예금으로 은행에 그냥두면 0.1%이니 그것보다는 그래도 하는 것이 이득일 것 같습니다. 1%는 소중하니까요!
저의 경우 월급이 특정은행으로만 받게 되어 있어 월급통장을 CMA로 하는 것은 어려울 것 같고, 한번씩 나가는 목돈에 대비하기 위해 모아두는 비상금 통장으로 CMA를 이용하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다들 일 열심히 하셔서 돈 많이 버시고 번 돈들도 같이 일 열심히 할 수 있게 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란?(feat. 공부사이트) (6) | 2020.09.12 |
---|---|
[공모주 청약방법]나도 한 번...? (0) | 2020.09.05 |
[하반기 대어]빅히트엔터테인먼트 상장?! (0) | 2020.08.28 |
주식 해야하나? 말아야하나? (0) | 2020.06.21 |
공무원 시험 경제적 비용? (0) | 2020.06.19 |
댓글